해경과 소방대원이 테트라포드 사이로 떨어진 한 남성을 구조합니다. <br /> <br />[119 구조대원 : 저분 허리랑 팔이랑 손 움직이세요? (살짝 움직입니다.)] <br /> <br />60대 남성이 낚시를 하다가 철수하던 중 발을 헛디뎌 테트라포드 아래로 떨어진 겁니다. <br /> <br />같은 장소에서 한 달 만에 또다시 테트라포드 추락 사고가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테트라포드에서의 추락 사고는 매년 반복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5년간 울산에서는 테트라포드 사고가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만 해도 두 건이 발생했는데, 이 중 한 명이 목숨을 잃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높은 파도를 막기 위해 만들어진 테트라포드는 특유의 미끄러운 표면과 구조로 인해 사고가 났을 때 인명 피해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. <br /> <br />테트라포드는 표면이 미끄러워 자칫하면 아래로 떨어질 수 있는데 깊은 데다 공간도 좁아 스스로 빠져나오기 어렵습니다. <br /> <br />소방대원이 삼각 구조 장비를 이용해 들것으로 마네킹을 끌어 올립니다. <br /> <br />사고 발생 시 구조가 쉽지 않은 만큼 실제 상황을 가정한 훈련으로 대응력을 높이고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방파제의 높이는 해안에서 최대 10m. <br /> <br />사고는 주로 사진을 찍거나 밤낚시를 하는 도중 발생하는데 공간이 협소한 데다 어두운 밤에 사고가 나면 구조자 발견 자체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[한지우 / 울산동부소방서 구조대 소방사 : 구조 활동하기가 위험한 구역이기도 하고 장비를 사용하기 위한 확보물이 많이 없기 때문에 구조하는 데 어려움이 있습니다. 낚시를 하실 때는 구명조끼를 착용하시고 가족이나 지인에게 위치를 알려주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.] <br /> <br />테트라포드에서의 추락 사고는 인명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만큼 테트라포드 위에서의 위험한 활동은 반드시 자제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JCN 뉴스 라경훈입니다. <br /> <br />촬영기자ㅣ김창종 <br />그래픽ㅣ이윤지 <br />화면제공ㅣ울산해양경찰서 <br />자막뉴스ㅣ이 선, 이도형 <br /> <br />#YTN자막뉴스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1203104334827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